본문 바로가기
주식

카카오(035720) - 언택트, 게임, 광고, 커머스, 웹툰, 금융

by 世上萬事 2021. 1. 6.
반응형

 

카카오는 지속적인 성장을 기록하고 있으며 항시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는 대형주입니다. 기업 개요, 매출, 뉴스와 공시 내역 등에 대해 알아보고 차트를 이용해 주가의 흐름을 점검해보겠습니다. 

* 기업에 대해 단순히 정리한 내용으로 절대 투자 권유가 아님을 말씀드리며 안전 투자 및 성공 투자는 투자자 본인의 판단이 100% 임을 감안하시어 잃지 않는 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1. 기업 개요

1995년 2월 (주) 다음커뮤니케이션으로 설립되어 1999년 11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했습니다. 2014년 (주)카카오와 합병하였고 상호를 '다음카카오'로 변경했습니다. 

 

2015년 상호를 '카카오'로 변경했고 2017년 코스닥 시장에서 유가증권시장으로 신규 상장했습니다. 2018년 (주)카카오엠과 합병 후 신주는 추가 상장했습니다.

 

주요 사업은 크게 광고, 게임, 뮤직, 이커머스, 모빌리티, AI 사업 등으로 많은 연결회사와 관계 기업들을 두고 있습니다.

 

(1) 온라인 광고 부문

약 95%에 이르는 스마트폰 보급률과 관련된 모바일 광고, 모바일 동영상과 VR 등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마케팅, 인공지능 이용한 기업대 기업, 기업대 소비자 등 다양한 광고 등을 전개하고 있음.

출처: 분기 사업보고서

 

(2) 게임 부문

고위험 고수익 사업 부문으로 성공 시 추가비용이 적게 들며 캐릭터 판매, 영화 등으로 사업을 확대할 수 있음. '검은사막', '배틀그라운드'의 안정적인 매출을 거두고 있으며 '엘리온' 등 경쟁력 높은 게임 퍼블리싱을 통해 지속적 성장 도모하고 있음. 

 

모바일 게임 '가디언테일즈' '그랜드체이스' 등으로 국내와 해외를 공략하고 있으며 '달빛조각사' 등 여러 게임을 개발 및 퍼블리싱 중으로 역량을 높이고 있음.

출처: 분기 사업보고서

 

 

(3) 모바일메신저

국내 1위 메신저로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여러 부문 간 시너지를 만들고 있음. 카카오비즈도, 선물하기 서비스, 톡캘린더 등으로 사업성을 강화하고 있음

- 2020년 9월 기준 카카오톡 서비스 체류시간 시장점유율 97%

 

 

(4) 포털

검색, 이메일, 커뮤니티 등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 제공, 외부 기업들과 제휴 등을 통해 맞춤형 콘텐츠 제공하고 있음.

-2020년 9월 기준 월 2936만명 순 방문자 기록, PC 통합 쿼리 점유율 15%

 

 

(5) 뮤직

국내 대표 음악 서비스 '멜론'과 톡뮤직으로 유료 음악 시장에서 성장과 안정을 이끌고 있음.

-2020년 3분기 기준 멜론의 시장 점유율 40%에서 최대 51%를 보이고 있음

 

 

(6) 유료 콘텐츠

카카오재팬이 운영하는 '픽코마'는 현지화 전략을 통해 일본 디지털 만화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으며 카카오페이지 글로벌 서비스 확대로 플랫폼이 성장하고 있음.

 

(7) 모빌리티

택시 호출, 주차, 내비, 대리 등 전방위적 이동 서비스 제공 중임.

 

(8) 카카오페이

2020년 9월 기준 3500만 명 이상의 가입자 확보, 온오프라인 사용빈도 증가, 신용조회와 연계한 대출 비교 서비스 등 금융 서비스 강화하고 있어 금융 플랫폼으로 급성장하고 있음.

카카오페이증권을 2020년 2월 자회사로 편입해 증권, 펀드 등 금융 투자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음.

 

(9) 종속회사

카카오커머스, 카카오엠, 카카오게임즈, 카카오페이 등을 주요 종속회사로 두고 있으며 기업지단 카카오에 속한 계열회사는 카카오 포함 101개이며 상장사 2곳에 비상장사는 99개에 이릅니다. 해외계열사도 카카오 저팬을 비롯해 총 31개에 이릅니다. 

출처: 분기 사업보고서

 

 

2. 매출 구성(연결 기준)

플랫폼 부문과 콘텐츠 부문으로 양분되며 2020년 3분기까지 플랫폼 52.2%, 콘텐츠 47.8%에 합계 매출액 2조 9216억원 수준으로 전기 합계 매출액의 95.1%를 달성함.

 

광고주 증가 및 커머스 확대로 톡비즈 부문 성장하고 있으며 카카오페이 거래액 증가, 모빌리티 부문 성장으로 전기 대비 매출 상승했으며 양호한 성장세 지속, 구독 서비스 론칭 등 매출 성장세 기대됨.

출처: 분기 사업보고서
출처: 유안타증권

 

 

3. 재무제표(2020년 잠정치)

(1) 매출액 : 4조 1278억원

(2) 영업이익 : 4,495억원

(3) 당기순이익 : 4,827억원

(4) 시가총액 : 34조 7556억원(2020.01.06 종가 기준)

(5) 2019년 대비 2020년 매출 34.4%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영업이익률은 117.38%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으로 전망됨.

 

매출 증가에도 원가 및 판관비 적정하게 관리되고 있어 영업이익률 대폭 상승했으며 영업외 수익은 증가하고 비용은 크게 감소해 당기순이익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4. 지분 내역

2020년 3분기 기준 지분 구성은 김범수 대표가 14.2%, (주)케이큐브홀딩스 11.3%, 국민연금공단 8.5%, 기타 56.7% 등입니다.

 

(1) 발행주식수 : 88,459,906주

(2) 유동주식수 : 63,392,067주(71.68%)

 

(3) 지분형황(2020.09.30. 기준)

- 김범수 : 14.2%(12,500,631주)

- (주)케이큐브홀딩스 : 11.3%(9,939,467주)

-국민연금공단 : 8.5%(7,477,375주)

- MAXIMO PTE. LTD. : 6.3%(5,599,849주)

- 자기주식 : 2.8%(2,489,934주)

-기타 특수관계인 : 0.2%(205,654주)

- 기타 : 56.7%(50.034,909주)

 

 

(4) 1년간 투자 수익률은 최대 159.67%로 네이버의 61.16%보다 월등한 수익률을 보여줌.

1개월 투자 수익률 1.67%

3개월 투자 수익률 8.64%

6개월 투자 수익률  34.69%

12개월 투자 수익률  159.67%

 

 

5. 뉴스 내역

2021년 1월 6일 종속회사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산업은행으로부터 1000억원 투자 유치를 받았는데 제3자 배정 유상증자 형식으로 보통주 136만 6774주를 발행하며 1주당 7만 3165원에 발행해 약 1000억원을 투자받았습니다. 

 

(1) 기업가치 1조원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산은에서 1000억원 투자 유치

 

네이버 금융

산은에서 순수 투자로는 최대 규모사전기술평가도 최상위 등급 받아IT인프라 시장 진출 탄력 받을 듯백상엽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대표가 지난해 9월 출시된 업무 협업 툴 ‘카카오워크’를 소개

finance.naver.com

(2) 웹툰 대박 카카오, '카톡' 없이 홀로서기 성공

 

네이버 금융

관심종목의 실시간 주가를 가장 빠르게 확인하는 곳

finance.naver.com

(3) 카카오 손보 예비인가 신청

 

네이버 금융

관심종목의 실시간 주가를 가장 빠르게 확인하는 곳

finance.naver.com

(4) 카카오, SKT, 삼성 '코로나 극복 AI' 만든다

 

 

삼성·SKT·카카오 `코로나 극복 AI` 만든다 : 네이버 금융

내년 상반기 출시 `의기투합` 거리두기 알림 기능도우경구 삼성전자 AI팀 상무, 박승기 카카오브레인 대표, 김윤 SKT CTO(왼쪽부터)가 22일 SK텔레콤 판교 사옥에서 팬데믹 시대 공동 AI 개발에 협력

finance.naver.com

 

6. 배당 내역

2015년부터 약 140원 정도 배당을 하고 있으며 배당성향은 약 12%입니다. 2020년 기준 배당금은 152원으로 예상됩니다. 

연도 1주당 배당금(원) 배당성향(%)
2015 167 13.3
2016 148 17.3
2017 148 9.3
2018 127 21.0
2019 127 0
2020 152 -

 

 

7. 차트 간단 분석

(1) 외국인 및 기관 매매동향

2020년 12월 7일부터 20일 거래일 기간 동안 외국인 171,345주 순매수이며 기관 투자가 80,221주 매수하고 있음.

 

동일 기간 개인 230,538주 매도하고 있어 상반된 행보 보이고 있음.

 

 

(2) 이동평균선 및 캔들

 

2020년 9월 초 최고점 420,500원 기록 후 거래량 없이 하락하다 일봉상 120일 선 지지받고 차트 정배열 중으로 거래량 동반하며 상승 중임. 40만원이 1차 저항선으로 판단되며 전고점 420,500원 돌파하면 저항대 없어 각 증권사 목표가 이상 가격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8. 향후 전망

언택트 대표주이며 일본 웹툰 서비스 픽코마와 페이지의 성장세 유지, 이커머스와 페이, 모빌리티 사업 부문 폭발적 성장세 기록하고 있음.

 

출처: 이베스트투자증권

2021년 매출 및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전년 대비 대폭 상승 예상되며 성장률은 매출 34.5%, 영업이익 73%, 당기순이익 37.9%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2022년도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임.

 

2021년 마케팅 비용과 인센티브 영향으로 영업이익 소폭 낮아질 수 있으나 전체적 성장세는 견고할 것으로 예상되며 구독경제, 모빌리티, 금융 부문의 실적이 가시화될 것으로 보임.

 

반응형

댓글